뉴욕 증시가 국제유가 급락과 기준금리 인상에도 불구하고 일제히 1% 넘게 급등했다. 금리인상이 이미 주가에 상당수 반영돼 있었던 반면 내년 금리인상 속도가 더 늦춰질 것이란 전망에서다. 
16일(현지시간) 뉴욕 증시에서 스탠다드앤푸어스(S&P)500 지수는 전날보다 29.66포인트(1.45%) 상승한 2073.07을 기록했다. 다우존스산업평균지수는 224.18포인트(1.28%) 오른 1만7749.09로 마감했다. 나스닥종합지수 역시 75.77포인트(1.52%) 급등한 5071.13으로 거래를 마쳤다. 

시티즌스 뱅크의 토니베디키언 글로벌 마켓 부문 대표는 “연방준비제도(Fed, 연준)가 성공적으로 금리를 인상했다”며 “점진적인 금리 인상을 강조하고 경기상황에 따라 금리 인상 속도를 조절하겠다고 밝히면서 시장이 환호했다”고 설명했다. 

◇ FRB, 기준금리 0.25%p 인상… 금리 인상 속도 더 느려져
이날 증시의 최대 관심사는 역시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가 어떤 결정을 내릴 것인지로 모아졌다. 

미국 연방준비제도이사회(FRB)는 이날 기준금리를 0.25%포인트(p) 인상했다. 이에 따라 2006년부터 이어진 제로(0) 금리 시대가 막을 내리게 됐다. 

FRB는 지난 15일부터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를 개최, 금융통화정책을 논의한 결과 기준금리를 0.25%p 인상한다고 밝혔다. 이에 따라 현행 0~0.25%인 기준 금리는 0.25~0.5%로 높아지게 됐다. 

FRB는 이날 성명을 통해 “미국의 경제 상황이 지속적으로 개선될 것으로 기대한다”며 “이는 점진적인 금리 인상을 뒷받침해 준다”고 설명했다. 

FRB는 또 할인율도 종전 0.75%에서 1%로 상향 조정했다. 이번 금리 인상 결정에 반대표를 던진 위원은 아무도 없었다. 그만큼 금리 인상에 대한 공감대가 형성돼 있었다는 의미로 해석됐다. 

이날 함께 공개된 점도표(dot plot)에 따르면 연준 위원들은 내년에 4차례 금리인상이 이뤄질 것으로 전망했다. 내년 말 금리 전망은 1.375%로 제시했고 2017년말에는 2.375%까지 높아질 것으로 내다봤다. 2018년에는 다시 3.25%로 상향 조정될 것으로 예상했다.

점도표는 17명의 연준 위원들의 금리 인상 전망을 도표로 나타낸 것으로 향후 금리 정책을 예측하는 중요한 자료로 활용된다. 

이에 따라 내년과 2017년에는 4차례 금리 인상이 이뤄지고 2018년에는 3~4회 금리가 인상될 전망이다. 

이는 지난 9월에 발표된 전망보다는 낮아진 것이다. 당시 7명의 연준 위원들은 2017년에 기준금리가 3% 혹은 그 이상이 될 것으로 내다봤다. 이번 점도표에서는 4명으로 줄었다. 연준 위원들이 글로벌 경기침체에 대한 우려로 금리인상 속도를 늦출 필요가 있다고 판단한 것으로 풀이된다. 

과거에 비해서도 금리 인상 속도가 크게 떨어진 것이다. FRB는 지난 2004년부터 2006년까지 17차례에 걸쳐 금리를 인상했다. 

FRB는 특히 금리인상이 점진적으로 이뤄질 것이라는 점을 강조했다. 금리 인상에 따른 금융시장의 충격을 최소화하겠다는 의지를 다시 나타낸 셈이다. 

앞으로 금리 인상 시기와 폭은 물가상승률에 좌우될 전망이다. 3년 넘게 물가상승률이 목표치인 2% 아래에 머물고 있어 이를 주의 깊게 관찰할 계획이라고 강조했다. 이에 따라 향후 물가상승률이 기대에 못 미칠 경우 추가 금리 인상 시기는 더 늦어질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물가상승률이 높아질 것이라는 합리적인 확신을 갖고 있다는 것이 FRB의 공식 입장이다.

◇ 엇갈린 경기지표, 부동산 ‘맑음’ 제조업 ‘흐림’
이날 발표된 경기지표는 다소 엇갈렸다. 부동산 지표는 호조를 이어간 반면 제조업 지표는 기대에 못 미쳤다. 

먼저 지난달 주택착공건수는 전월 대비 10.5% 증가한 117만건을 기록했다. 이는 7개월 만에 최저 수준에서 반등한 것으로 전망치 113만5000건은 물론 전월(106만건) 기록 또한 웃도는 수준이다. 

이로써 주택착공건수는 8개월 연속으로 100만건을 웃돌았다. 이는 지난 2007년 이후 최장 기간 기록이다. 

주택시장에서 가장 큰 부분을 차지하는 단독주택 주택착공건수는 7.6% 늘어난 76만8000건을 기록했다. 이는 지난 2008년 1월 이후 최고치다. 

향후 주택 경기를 예고하는 건축허가건수는 전월 대비 11.0% 늘어난 129만건을 기록했다. 지난 6월 이후 최고치다. 역시 시장 예상치(115만건)를 크게 웃돌았다. 

반면 제조업 구매관리자지수(PMI) 예비치는 51.3에 그치며 약 3년 만에 최저치로 떨어졌다. 이는 전망치(52.6)는 물론 직전월(11월) 확정치인 52.8에도 못 미치는 수준이다. 

신규주문지수도 지난달의 53.1보다 낮아진 50.5를 나타냈다. 2009년 9월 이후 최저 수준이다. 

미국 11월 산업생산은 전월대비 0.6% 감소해 예상치(0.1% 감소)보다 훨씬 부진했다. 이는 3년 6개월 만에 가장 큰 낙폭이며 3개월 연속 하락세다. 전달인 10월의 산업생산 감소폭도 -0.2%에서 -0.4%로 하향 수정됐다. 

◇ 국제유가, 美 원유재고 급증에 급락
국제유가는 미국의 원유 재고가 예상보다 크게 증가했다는 소식에 일제히 급락했다. 뉴욕상업거래소에서 서부텍사스산원유(WTI) 가격은 전날보다 배럴당 1.83달러(4.9%) 급락한 35.52달러를 기록했다. 이는 2009년 2월 이후 가장 낮은 수준이다.

런던ICE 선물거래소에서 북해산 브랜트유 역시 배럴당 1.1달러(2.9%) 하락한 37.35달러에 마감했다. 

이날 미국 에너지정보청(EIA)은 지난주(~12월11일) 미국의 원유재고가 480만배럴 증가했다고 밝혔다. 이는 140만배럴 감소를 예상한 전문가들의 예상과는 정반대 결과다. 

미국의 원유 저장시설이 밀집해 있는 오클라호마주 쿠싱 지역의 재고도 40만7000배럴 늘었다. 

휘발유 재고는 170만배럴 증가했다. 이는 예상치인 200만배럴 증가보다는 낮은 수준이다. 디젤유와 난방유를 포함한 정제유 재고는 260만배럴 증가했다. 이는 전문가 예상치인 220만배럴 증가를 웃돈다. 

미국의 석유 수입은 하루평균 29만1000배럴 증가했다.

◇ 달러 ‘약세’ 금값 1.4% 올라
달러는 FOMC 성명서 발표 이후 하락 폭을 키우고 있다. 향후 금리 인상 전망을 담은 점도표(dot plot)에서 연준 위원들이 향후 금리 인상 속도를 하향 조정한 때문으로 풀이된다. 

뉴욕 외환시장에서 주요국 통화에 대한 달러 가치를 보여주는 달러 인덱스는 전날보다 0.35% 하락한 97.79를 기록하고 있다. 달러/유로 환율은 전날보다 0.38% 오른 1.0969달러를, 엔/달러 환율은 0.16% 상승한 121.85엔을 각각 나타내고 있다.

국제 금값은 상승세를 이어가고 있다. 이날 뉴욕상품거래소에서 국제 금 가격은 전날보다 온스당 15.2달러(1.4%) 상승한 1076.80달러를 기록했다. 

FRB의 금리인상 결정 이후 금값은 시간외 거래에서 1070달러 아래로 떨어졌다. 하지만 내년 금리 인상 속도가 예전보다 느려졌고 달러가 더 하락하면서 이내 반등에 성공했다. 

국제 은 가격 역시 전날보다 온스당 47.8센트(3.5%) 급등한 14.248달러에 마감했다. 구리와 팔라듐도 각각 0.7%와 0.9% 상승했고 백금 역시 2.4% 올랐다.

2015년 개정세법에 따르면 2016년 4월 1일부터는 현행 코스피 지분율 2% 이상 혹은 시가총액 50억원 이상이던 대주주 요건이 지분율 1% 혹은 시총 25억원 이상으로 강화된다. 코스닥도 종전 지분율 4% 또는 시총 40억원 이상에서 지분율 2% 혹은 시총 20억원 이상으로 바뀐다. 대주주 요건이 확대되면서 세율 또한 매매(양도) 차익의 20%로 상향 조정된다. 

소액 투자자는 주식을 사고팔 때 발생하는 매매 차익에 대해 세금을 내지 않는다. 하지만 세법상 대주주 요건에 해당하는 거액 투자자는 양도세를 물어야 한다. 국세청은 직전 사업연도 말 주식 보유 현황을 기준으로 대주주 여부를 판단하고 이듬해 대주주가 주식 투자로 얻은 양도 차익에 대해 일괄적으로 세금을 매긴다. 

양도세를 내야 하는 대주주 요건은 지난 3년간 지속적으로 강화됐다. 2년 전만 해도 대주주 요건은 코스피의 경우 지분 3% 또는 시총 100억원 이상 가진 투자자였다. 이것이 2013년 7월 세법 개정으로 지분 2% 또는 시총 50억원 이상으로 강화되더니 내년 4월부터 지분 1% 또는 시총 25억원 이상으로 또 낮아졌다. 

양도세 관련, 자산가들이 유독 연말에 주식을 내다 파는 데는 다 이유가 있다. 대주주를 판단하는 시점이 주식을 파는 시점이 아니라 종목을 직접 보유한 사업연도 말 기준이기 때문. 즉, 코스닥시장의 경우 올 12월 31일 기준 시총 20억원 이상 보유한 투자자라면 대주주로 분류돼 내년 한 해 주식 양도 차익에 대해 세금을 토해내야 한다. 

 기사의 1번째 이미지
▶PB센터·자문사로 문의 봇물 

지분과 시총, 규정 시기 제각각 

상장사 임원도 배당 두고 고민 

사정이 이렇자 자산가들이 몰려 있는 강남권 PB센터와 투자자문사로는 양도세 문의가 빗발치는 상황이다. 한 투자자문사 사장은 “세금 부과는 2016년 4월 이후 양도분부터 적용되지만 실제 대주주 판단 여부 기준일은 직전 사업연도 말이기 때문에 대주주 판단 여부에 대한 문의가 부쩍 늘었다. 주로 일임형 랩어카운트나 사모펀드 주식 보유분에 대한 상담이 잦다”고 귀띔했다. 

상장법인에서도 연말 배당을 두고 고민에 빠진 곳이 적잖은 것으로 알려졌다. 한 코스닥 상장사 임원은 “주요 상장기업 임원들도 배당을 포기하고 연말 기준 대주주 요건에 맞출 것인지, 아니면 배당을 받고 2016년 3월 말 이전에 요건을 맞출 것인지 등 여러 선택지를 놓고 고민 중”이라고 털어놨다. 

자산가들이 유독 분통을 터뜨리는 대목은 대주주 범위다. 

세법에서 대주주 요건은 본인 외에도 6촌 이내 혈족, 4촌 이내 인척, 배우자 등의 보유 주식까지 모두 포함된다. 쉽게 말해 서로 왕래가 뜸해 이름도 잘 모르는 친척의 보유 주식까지도 신경 써야 한다는 얘기다. 지금까지는 대주주 요건이 높아 친척의 보유 지분까지는 따져볼 필요가 없었지만 내년부터는 기준이 낮아져 친척 소유분도 간과할 수 없게 됐다. 

예를 들면 이렇다. B씨가 코스피 기업 주식 15억원, 아내인 C씨가 9억원을 갖고 있다면 총 24억원으로 개정세법으로도 대주주에 해당되지 않는다. 그런데 사촌 D씨가 같은 주식 1억원어치를 갖고 있다면 이들 3명 모두 대주주가 된다. 이 경우 가장 억울한 건 D씨다. 그는 보유 주식이 1억원에 불과하지만 대주주에 해당돼 주식을 팔 때 양도소득세(1년 이상 보유 시 차익의 20%, 1년 미만 보유 시 대기업은 차익의 30%)를 물 수밖에 없다. 

“얼마 전 코스닥 종목만 40억원 이상 보유하고 있던 고객이 있었는데 대주주 요건이 이처럼 복잡한지 미처 인지하고 못하다가 연말이 닥쳐서야 알게 됐다. 그런데 하필 이 고객의 보유 종목은 거래량이 많지 않아 수일 내 지분을 줄이기가 만만치 않은 상황이다. 때문에 기관투자자를 물색해 시간 외 대량 매매(블록딜)로 일단 지분을 넘겨 대주주 요건을 피해간 뒤 다음 해에 다시 시장에서 매입하는 방법을 고민 중에 있다.” 한 대형 증권사 압구정지점장이 들려준 에피소드다. 

지분과 시총을 통한 대주주 규정 시기가 다르다는 점도 혼란스럽다. 시총 요건은 연말 기준으로 맞추면 되지만, 지분율 요건은 해당 연도 중이라도 항상 지켜야 한다. 사업연도 중 한 번이라도 지분율 기준을 넘기면 이후 지분율이 낮아지더라도 해당 사업연도 말까지 대주주에 해당돼 양도세 과세 대상이 된다. 지분율 기준을 넘겨 이를 전부 처분한 뒤 다시 매매하는 경우라도 1년 미만 매매에 걸려 30%대 세율로 양도소득세가 부과된다. 때문에 일선 PB나 세무사들은 자사 고객에게 이 점을 집중적으로 조언하고 있다. 

일각에서는 세금을 내는 대주주의 요건만 낮아질 뿐 권리를 주장할 수 있는 문턱은 요지부동인 것을 두고 불만의 목소리도 터져 나온다. 상법상 주주 권리를 요구할 수 있는 기준은 지분 3%다. 상법 제366조와 제466조에 따르면 지분 3% 이상 주주는 임시총회 소집을 청구할 수 있고 회계장부열람권을 행사할 수 있다. 그러나 제366조는 2009년 5월에, 제466조는 1998년에 개정된 이후 지금껏 단 한 번도 수정이 없었다. 

“세법상 대주주 요건이 강화되면서 거액 자산가의 주식 보유가 여의치 않은 상황이다. 2011년부터 2014년까지 개인투자자의 순매수는 12월에 항상 마이너스를 기록했다. 이처럼 과거에도 개인투자자의 순매도는 연말마다 반복됐는데, 이번 법 개정으로 순매도 폭은 더 커질 가능성이 높다. 매년 연말 한국 증시의 방향성은 외국인 투자자가 결정했는데, 올해는 미국 금리 인상 이슈 등 대외 여건마저 좋지 못해 연말 랠리는 기대하기 힘들어 보인다.” 김상호 KDB대우증권 애널리스트의 진단이다. 

파생시장도 양도세 폭탄 

2년 유예안 무산 세율 최대 30% 

내년부터는 선물·옵션 등 파생상품 거래로 발생하는 소득에도 양도소득세가 부과된다. 

지난 11월 27일 국회 기획재정위원회 조세소위원회 여야 의원들은 파생상품 양도소득세 시행을 2년 유예하는 ‘소득세법 일부개정법률안’을 심의했지만 결국 이를 처리하지 않기로 했다. 이 법안은 나성린 새누리당 의원이 발의한 것으로, 양도세 부과에 따른 파생시장 침체를 우려해 시행 시점을 2018년 이후로 연기하는 내용을 담고 있다. 

개정안 처리가 무산되면서 지난해 국회에서 통과된 파생상품 양도차익 과세는 예정대로 내년 1월 1일부터 시행된다. 당초 과세 법안은 파생상품 투자로 발생한 양도 차익에 20% 세율을 부과하도록 돼 있지만 탄력세율 10%를 적용할 수 있어 실제 세율은 10~30%에 이를 전망이다. 

금융투자업계는 올 들어 되살아날 조짐을 보였던 파생상품시장이 다시 침체될 것을 우려한다. 국내 파생상품 거래량은 옵션 승수가 10만원에서 50만원으로 인상된 2012년 이후 극심한 침체를 겪다 올 들어 기지개를 켜기 시작했다. 올해 일평균 거래량은 3월(300만1337계약)부터 8월(386만3149계약)까지 완만한 상승세를 나타냈다. 

하지만 9월(373만4844계약) 들어 하락 조짐을 보이더니 10월 301만269계약으로 뚝 떨어졌고 11월에는 258만계약대로 추락했다. 이는 앞서 10월 대비 14.1%, 지난해 같은 달 대비 9.1% 줄어든 수치다. 특히 통합거래소가 출범한 2005년 이후 역대 11월 기준으로 가장 낮은 수준이다.
 

파생상품 규제는 현물시장에도 부정적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인다. 특히 주식 현물과 선물의 가격 차이를 이용한 차익거래 물량이 급감할 수 있다는 지적이다. 최창규 NH투자증권 애널리스트는 “외국인이나 기관이 유동성이 작은 국내 시장을 버리고 다른 나라로 움직일 가능성이 농후하다. 파생상품시장뿐 아니라 현물시장 거래량도 줄어들 수 있다”고 우려했다. 


1. 장기비용(Longrun Cost)

사업이 잘되어 생산 규모를 키워나가게 될 때 비용은 어떻게 될까요?
공장1, 공장2....체인점1, 체인점2...로 규모가 커지게 되면 비용은 결론적으로 감소하는 형태로 나타납니다.

공장1, 공장2, 공장3의 3개 공장이 있을 경우에 각각의 공장의 비용 함수를 만들어 낼 수 있을 것입니다. (13.비용분석 참고)

이중 동일한 생산량을 위한 가장 적은 비용을 선택하면 가장 효율적인 비용으로 생산을 할 수 있는 방법이 됩니다.
아래 그림에서 처럼 3개의 비용 함수 그래프가 만들어 내는 생산량이 증가 할 수록 가장 적은 비용으로 나타나는 점들을 연결하면 장기비용 그래프가 됩니다.(LC)


장기비용 함수 그래프는 원점에서 시작하여 생산량이 엄청나게 큰 수량까지를 모두 나타냅니다. 
생산량 단위가 즉, 규모가 큰 생산에 있어서의 비용 그래프가 됩니다.
여기서 장기라는 개념은 회계학에서와 같은 시간의 개념이 아니라 규모를 증대하는 개념의 장기입니다.

장기비용 함수를 포락곡선(Envelope Curve)이라고도 하는데 이는 장기비용 함수가 여러개의 단기비용 함수들을 끌어않는듯 나타내기 때문입니다.

장기비용 함수는 3차 방정식으로 표현이 됩니다. (LC = aQ^3+bQ^2+cQ)
상수가 없기 때문에 고정비용이 없는 것과 같이 나타납니다. 규모가 상당히 크기 때문에 고정비용이 없는 것처럼 보여지는 것입니다.


2. 장기평균비용

장기비용을 생산량으로 나눠주면 장기평균비용(LAC, AC longterm)이 됩니다.
LAC = LC/Q = aQ^2+bQ^1+c

장기평균비용도 마찬가지로 평균비용(AC) 들을 감싸고 있는 포락곡선으로 단기평균비용이 가장 적게 들어가는 생산량에 대한 함수 그래프가 됩니다.

규모가 커지면 커질수록 평균비용(제품의 원가)이 U자 모양으로 감소하다가 커지는 형태로 나타납니다.
평균비용이 하락하다가 최저점이 되는 점이 최적 생산 규모라고 합니다.
평균비용이 감소한다는 것은 원가 절감이 되어 이익이 커지는 것을 의미 합니다.

또 이렇게 비용이 하락하는 구간을 규모의 경제(economies of scale)라고도 합니다.
하지만 여기서 규모를 더 키우게 되면 생산량이 증가하지만, 비용도 증가하여 이익이 줄어들게 되기 때문에 무조건 규모가 커진다고 좋은 것이 아님을 알려줍니다. (규모의 불경제)

최적 생산 규모를 구하는 방법은 LAC를 미분하고 이 기울기가 0이 되는 점이 최저점이 됩니다.
LAC' = 0 = 2aQ+b,
Q=b/2a

장기 분석을 할 때 필요한 요소인 장기평균비용은 제품의 평균 생산 비용을 의미하며,
이 장기평균비용이 하락 하게 되면 실제로 제품의 시장가격도 하락을 하게 됩니다.
이와 관련된 내용은 장기 균형에서 다시 다루게 됩니다.


3. 장기한계비용

장기한계비용은 위의 다른 비용 곡선과는 다르게 포락곡선의 형태로 나타나지 않습니다.

한계비용이 비용의 기울기 함수이였던 것처럼 장기한계비용도 장기비용의 기울기로 만들어진 함수입니다.
비용 함수에서의 한계비용은 가장 적게 들어가는 비용의 생산을 나타내 최적의 효율을 나타내었지만,
장기한계비용은 단순히 장기비용 함수에서 만들어진 아무 의미가 없는 곡선입니다.







'미시경제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16. 독점적 경쟁시장의 균형  (0) 2015.12.29
15. 완전경쟁시장의 장기균형  (0) 2015.12.28
13. 비용(cost) 분석  (0) 2015.12.08
12. 생산자 균형  (6) 2015.09.22
11. 생산자  (0) 2015.09.17



일본의 중앙은행인 일본은행(BOJ)은 10일 8월중 PPI를 발표했다.

이 자료에 따르면 일본의 PPI는 전년동기대비 3.6% 하락했다.

당초 시장에서는 3.2% 하락을 전망했으나 실제 드러난 지수는 이보다 더 떨어졌다. 

한달 전에 비해서는 0.6% 하락했다. 

PPI란 Producer Price Index의 약어다.

우리 말로는 생산자물가 지수이다. 

기업간의 거래에서 형성되는 모든 상품의 가격 변동을 측정하는 지수이다. 

소비자 물가 지수보다 포괄범위가 넓어 국민경제차원에서 물가수준을 측정하는 데에 가장 널리 활용된다.

일본은 디플레 우려를 불식하기 위해 물가를 끌어올리는 이른바 양적완화 정책를 펴왔다. 

그럼에도 좀체 오르지 않고 있다. 오히려 떨어져 국가경제에 부담을 주고 있다

물가가 떨어지면 기업이 생산을 하면 할수록 단가 하락으로 인한 손실이 커진다. 

결국 디플레 구조에서는 단가 하락 손실을 우려한 기업들이 생산을 중단하여 국가경제를 마비시킬 우려가 있다.

일본으로서는 양적완화를 더 확대해야한 상황으로 몰려들 수 있다. 

이 경우 엔저에 따른 우리나라 수출업체의 경쟁력 하락이 문제될 수 있다



중국의 소비자물가가 시장 전망보다 개선됐다. 중국 당국의 부양조치로 수요가 다소 안정세를 찾았다는 신호로 풀이된다.

9일 중국 국가통계국은 지난 11월 소비자물가지수(CPI)가 전년대비 1.5% 상승했다고 발표했다. 1.3% 상승한 10월 수치를 웃돌았으며 시장 전망치 1.4% 상승도 앞질렀다. 

항목별로는 식품가격이 전년대비 2.3%, 비식품가격이 1.1% 올라 둘다 전월보다 상승폭을 키웠다. 도시 및 농촌지역 물가는 전년대비 각각 1.5%, 1.3%씩 상승했다. 

함께 나온 11월 생산자물가지수(PPI)는 전년대비 5.9% 하락해 전월과 동일한 수준을 이어갔다. 중국 PPI는 45개월째 하락세가 이어지고 있다. 

전망보다 개선된 물가상승률과 둔화된 수입 감소세는 그간 중국 당국의 부양 조치로 수요 안정 효과가 어느정도 나타났다는 신호로 관측된다. 하지만 물가상승률이 당국이 제시한 올해 안정 목표치 3%의 절반 수준에 그치고 있다는 점에서 추가 부양 가능성도 여전히 제시되고 있다.

석유수출기구(OPEC)의 감산 불발 후폭풍으로 유가가 30달러대로 떨어지자 그간 오일경제에 의존해 성장해왔던 산유국 경제에 비상등이 켜졌다. 러시아는 부도 위기에 내몰린 에너지기업 구제를 위해 중국에 돈을 빌리러 나섰고 중동 산유국들은 재정 확보를 위해 사상 초유의 증세에 나섰다. 저유가 추세가 고착돼 경제 파탄으로 이어질 경우 사회적 혼란과 정정 불안이 가중돼 베네수엘라 등 남미 산유국들처럼 정권을 빼앗길 수도 있다는 불안감이 산유국 사이에서 급속도로 확산되는 모양새다. 

파이낸셜타임스(FT)는 러시아가 내년에 10억달러(약 1조1700억원) 규모의 위안화 표시 국채 발행을 계획하고 있다고 7일 전했다. 그간 일부 러시아 은행들이 역외시장인 홍콩에서 위안화 표시 채권을 발행하기도 했지만 러시아 정부가 위안화 국채를 발행하는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국채 발행으로 조달한 자금은 가스프롬 등 러시아 에너지기업에 투입될 예정이다. 러시아 국영기업들은 최근 유가 하락에다 서방의 경제제재로 달러와 유로로 채권을 발행할 수 없어 자금줄이 막힌 상태다. FT는 "위안화로 돈을 빌리면 결국 달러로 다시 환전해야 하기 때문에 비용이 커진다"며 "그럼에도 러시아가 중국 돈을 빌리려는 것은 유가 급락으로 내년도 상황이 상당히 암울하기 때문"이라고 분석했다. 

아시아 최대 원유수출국 중 하나인 말레이시아 정부는 계속되는 유가 하락 때문에 내년에 70억달러(약 8조2480억원) 정도의 재정수입 감소가 발생할 것으로 내다봤다. 원유 수출은 말레이시아 재정수입의 60%를 차지한다. OPEC 감산 합의 불발로 지난 7일 말레이시아 통화인 링깃도 하루 사이 1% 가까이 급락하는 등 산유국 통화가치가 날개 없는 추락을 거듭하고 있다. 호주·뉴질랜드뱅킹그룹의 쿤 고 외환전략 전문가는 "지금 같은 유가 약세가 계속된다면 말레이시아 재정은 1997년 외환위기에 버금가는 펀치를 맞고 비틀거릴 수밖에 없다"고 내다봤다.

OPEC 감산 논의를 무산시킨 걸프협력회의(GCC) 6개 회원국도 저유가 강펀치에 휘청거리긴 마찬가지다. 일부 국가들은 사상 처음으로 부가가치세 도입을 선언했다. 유니스 하지 알쿠리 아랍에미리트(UAE) 재무차관은 "GCC 각 회원국 재무부 대표가 며칠 전 모여 부가세를 도입하기로 합의했다"며 "3년 안에 부가세 신설을 담은 세제를 시행하기로 했다"고 말했다. 세금이 없는 나라로 한국에도 널리 알려진 UAE가 과세로 정책 방향을 틀었다는 것은 그만큼 재정이 쪼들리고 있다는 방증이다. 

인권 탄압이 심한 GCC 국가들은 그간 오일머니를 토대로 국민에게 대규모 복지와 비과세 정책을 펼치며 정권을 유지해왔다. UAE는 이달 들어 재정지출을 줄이기 위해 연료보조금을 폐지하고 휘발유 가격을 24% 올리는 비상 조치를 취하기도 했다. 중동의 맹주 사우디아라비아는 예년 같으면 벌써 적정 유가를 예상해 세입·세출을 담은 내년도 예산안을 발표했을 시기지만 논의조차 못하고 있다. 재정적자가 눈덩이처럼 커지는 것을 막기 위해 복지나 보조금을 줄여야 하지만 쉽지 않은 선택이다. 

왕권이 흔들릴 수 있기 때문이다. 올해 사우디 정부의 적자 규모는 1300억달러로 국내총생산(GDP)의 19.5%에 달할 전망이다. 적자를 막기 위해 최근 1년 새 외환보유액에서 915억달러를 인출했고 이례적으로 매달 53억달러 규모의 국채를 발행하고 있다. 사우디가 빚을 내가며 대규모 적자재정을 감수하는 것은 최근 남미 좌파정권 몰락에서 보듯 민심 이반이 정권교체로 이어지는 것을 목도하고 있기 때문이다. 세계에서 가장 많은 미개발 원유가 매장된 베네수엘라는 6일(현재시간) 총선에서 지난 16년간 집권한 통합사회주의당(PSUV)의 니콜라스 마두로 정권이 야권 연합인 민주연합회의(MUD)에 패했다. 

남미 최대 경제대국인 브라질도 유가 하락의 직격탄을 맞고 대규모 재정축소안을 발표하자 지우마 호세프 대통령이 탄핵 위기로 내몰렸다. 이들 남미 국가도 중동 산유국들과 마찬가지로 그간 원유를 바탕으로 재정을 연금과 복지에 쏟아부었는데 결국 유가 급락으로 재정이 파탄난 후 민심을 잃었다. 영국 이코노미스트지는 최신호에서 "사우디 등 중동 부국들은 인권 탄압과 테러 등으로 민심이 불안한 상황에서 복지와 재정 축소에 적극적으로 나서기 힘들 것"이라고 보도했다. 

'뉴스 > 경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FRB, 기준금리 0.25%p 인상  (0) 2015.12.17
주식/선물옵션 양도세 부과  (0) 2015.12.14
전국 평균분양가 1000만원 돌파  (0) 2015.12.03
2016 예산 한 눈에 보기  (0) 2015.12.03
부동산 조정 시작하나  (0) 2015.12.03

1. 비용

앞에서 배운 것처럼 비용은 다음과 같이 나타낼 수 있습니다.
이렇게 보는것은 원가로 분석하는 것인데 기업에서는 이렇게는 보기 보다는 다른 방식으로 접근합니다.
비용 C = wL + rK

생산량이 증가하면 수량은 천천히 증가함에 비해서 비용은 폭발적으로 증가하게 됩니다.
그럼 비용이 왜 이렇게 많이 증가를 하는 것인지 알아보려고 합니다.


2. 가변비용, 고정비용

C = FC + VC
비용은 가변비용과 고정비용으로 나눌 수 있습니다.
가변비용이란 생산량이 증가할 때 마다 증가되는 비용으로 VC(variable cost)라고 합니다.
고정비용이란 생산량에 상관없이 항상 고정되어 있는 비용으로 FC(fixed cost)라고 합니다.

Ex) 택시를 타면 기본요금이 고정비용이라고 할 수 있고, 거리당 증가되는 메타 추가요금이 가변비용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3. 비용 그래프

그러면, 비용의 증가는 어떻게 되는지 그래프로 보면 아래와 같습니다.
고정비용은 가로로 고정된 비용으로 나타나는데 가변비용은 S자 커브와 비슷하게 나타납니다.
비용은 생산물이나 자본의 한계생산물 체감의 법칙에 의해서 반대로 체증의 형태로 나타나는 것이 결론입니다.
초기 비용은 살짝 체감하는 듯 하다가 곧 체증하는 형태로 나타납니다. 일반적으로 생산량은 대량으로 생산을 하기 때문에 비용은 일반적으로 체증한다 라고 말할 수 있습니다.

총비용(TC)은 고정비용과 가변비용의 둘을 합한 것입니다.
커브가 체감하다가 체증하는 S자 커브의 형태임으로 3차 방정식으로 표현이 됩니다. (C = aQ^3+bQ^2+cQ^1+100)

총비용의 기울기(비용의 변화량/생산량의 변화량)을 구하면 한계비용(MC : Marginal Cost)이 됩니다.
이는 1개 생산을 더 할때 소요되는 비용을 나타냅니다.

이 한계비용이 제품의 가격과 같아지는 수량까지 만들어야 이윤이 극대화 됩니다.
P = MC
얼마의 수량으로 생산을 해야 하는지 결정을 할 수 있게 해줍니다.
MC = C' = 3aQ^2+2bQ^1+1c+100 형태의 2차 방정식으로 표현이 되고 이 식이 가격이 되는 수량Q를 구하면 됩니다.

4. 평균비용

총비용을 총생산량으로 나누면
평균비용(AC : Average Cost)이 됩니다.
제품의 가격을 결정할 때 필요하며 얼마가 비용이 들어가서 얼마가 남는지를 알려줍니다. 또는 평균적으로 1개 제품의 원가(비용)이 얼마인지를 나타냅니다. 이 평균비용 이하로 가격을 책정하면 적자가 남으로 더 높은 가격으로 책정을 하면 이익이 남게 될 것입니다.

물론, 높은 가격으로 임의로 책정을 하면 소비자에게 외면을 받아 판매가 안될 수 있으니 시장조사와 경쟁제품 가격조사들을 통해서 적정한 가격을 책정해야 합니다.

평균 비용은 평균 가변비용과 평균 고정비용으로 구성되어 집니다.
평균 가변비용은 가변비용을 생산량으로 나눈 것으로 AVC (VC/Q)이라고 합니다.
평균 고정비용은 고정비용을 생산량으로 나눈 것으로 AFC (FC/Q)라고 합니다.

평균 비용은 한계 비용과 만나는 점이 발생하는 데 이 점이 평균비용의 최저점이면서 한계 비용이 원점에서 직전을 그어 만나는 점이 되며 이 때의 기울기와 평균비용(원점에서 탄젠트 값)은 같은 값을 가지게 됩니다.


시장분석에서 생산량에 대해서 MC가 가격만 결정되게 되면 이때의 MC - ATC가 이윤이 되고 ATC가 생산에 소요된 비용을 나타내게 됩니다. 가격은 시장에서 결정이 되어집니다.

평균가변비용은 원가분석할 때 사용되며 평균 가변비용을 알면 평균 고정비용도 같이 알수 있게 됩니다. 총비용에서 빼면 되니까요.


평균 가변비용(AVC)은 한계비용(MC)과 만나며 평균 총비용(ATC)과는 만나지 않습니다. AVC는 평균 총비용이 원점에서 직선을 그어 만나는 점에서 만나게 되며 이때의 기울기가 평균 가변비용(AVC)이 되며 또한 MC의 기울기와도 같습니다. 

여기서 가격이 P로 시장에서 결정이 되면 생산량은 Q으로 결정이 되어 최대 이윤이 되며, 한계비용(MC)의 면적이 비용이 되는데, 이 면적을 구하기 보다는 평균비용의 그래프를 그려서 Q와 만나는 점이 비용이 되고, 나머지 위 부분이 이윤이 됩니다. 여기서 또 평균 가변비용(AVC)의 그래프를 그리고 Q와 만나는 점이 가변비용이 되고 총비용에서 가변비용을 뺀 부분이 고정비용이 됩니다. 이로서 기업의 원가 분석이 가능합니다.

만약 고정비용이 원가에서 큰 부분을 차지할 경우 임대료 상승에 대한 부담이 크게 작용이 될 것이며, 
반대로 가변비용이 원가에서 큰 부분을 차지할 경우 임대료 상승에 대한 우려가 작아집니다. 이를 통해서 효율적인 비용 관리 포인트를 찾아낼 수 있게 됩니다.







'미시경제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15. 완전경쟁시장의 장기균형  (0) 2015.12.28
14. 규모증대와 장기비용  (0) 2015.12.11
12. 생산자 균형  (6) 2015.09.22
11. 생산자  (0) 2015.09.17
10. 소득효과, 대체효과  (0) 2015.07.23

전국 평균분양가, 6년만에 3.3㎡당 1000만 원 돌파

올해 전국 분양 아파트의 3.3㎡당 평균 분양가가 1000만 원선을 넘어섰다. 지난 2009년 1075만 원 이후 6년 만이다. 

3일 부동산인포에 따르면 올해 전국 분양 아파트의 3.3㎡당 평균 분양가는 1001만 원을 기록했다. 지난해 941만 원과 비교하면 60만 원 오른 것으로, 구 34평형을 기준으로 2040만 원이 오른 셈이다. 

지방 5대광역시 3.3㎡당 평균 분양가 추이. (자로:부동산인포)
분양가 상승세는 광역시를 중심으로 이어졌다. 올해 부산, 대구 등 지방 5대 광역시의 분양 아파트의 3.3㎡당 평균 분양가는 1038만 원으로 지난 2008년 1029만 원 이후 7년 만에 1000만 원선을 돌파했다. 이는 역대 최고치다.

광역시 가운데 대형 면적 공급이 많았던 부산에서 상승세가 두드러졌다. 부산 해운대구 중동 ‘해운대엘시티더샵’은 전용면적 144~244㎡의 3.3㎡당 분양가가 2900만~3070만 원에 공급됐다. 이 아파트는 평균 분양가만 3.3㎡당 4582만 원으로, 올해 두 번째로 높은 분양가인 서울 반포동의 ‘반포 래미안 아이파크’ 4306만 원보다 200여만 원이나 높다.

이밖에 해운대 우동 ‘해운대센텀경동리인’, 토성동 ‘경동리인타워’, 우동 ‘해운대동백두산위브더제니스’ 등도 지역 평균보다 높은 3.3㎡당 1300만~1700만 원에 분양가가 책정됐다. 상승폭이 컸던 울산에서도 △남구 야음동 대현더샵1, 2단지 1200만 원대 △중구 복산아이파크 1100만 원대 △약사더샵 1400만 원대 등으로 조사됐다.

반면 수도권의 3.3㎡당 평균 분양가는 1140만 원으로 지난해 1202만 원 보다 62만 원 낮아졌다. 실제로 지난 10월 말 경기도 용인에서 분양한 ‘e편한세상 용인한숲시티’ 분양가는 용인평균 분양가인 3.3㎡당 1000~1100만 원 보다 낮은 700만 원 후반 대였다.

수도권에서 가장 높은 분양가를 기록한 단지는 ‘반포 래미안 아이파크’에 이어 △반포 센트럴푸르지오써밋 4126만 원 △삼성동 센트럴 아이파크 3993만 원 △대치 SK뷰 3843만 원 △래미안 서초 에스티지S 3803만 원 △송파헬리오시티 2687만 원 등 강남권이 상위 6곳을 차지했다. 

수도권 분양가 베스트 20. (자로:부동산인포)
한편 올해 1순위로 청약통장을 사용한 사람은 모두 351만5904명으로 지난해 156만8139명보다 124% 늘었다. 또한 1순위 평균 경쟁률은 11.24대 1로 지난해 6.69대 1 보다 높았다. 이는 올해 초 청약 1순위 자격완화에 따른 결과로 풀이된다.

올해 최고 경쟁률은 현대건설이 대구시 수성구 황금동에 짓는 ‘힐스테이트 황금동’으로 평균 경쟁률이 622.1대 1을 기록했다. 지난달 말 기준 100대 1 이상의 경쟁률을 보인 단지는 28곳으로, 전체 분양단지의 4.5% 정도였다. 지난해 1.4% 보다 비중이 늘었다.

권일 부동산인포 리서치 팀장은 “지난해 하반기부터 이어진 분양시장의 호조로 건설사들이 미뤄왔던 물량을 쏟아내며 공급이 크게 증가했다”라며 “올해 하반기 들어 청약양극화가 심해지면서 미분양이 증가하는 등 호조세가 다소 꺾이고, 내년 1월부터 대출규제가 시행되면 상반기부터 분양시장은 위축될 것"이라고 내다봤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