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증시는 혼조세로 마감했어요.
장중에는 변동성이 크게 나타났지만, 막판에는 반등에 성공하며 분위기를 다소 회복했어요.
S&P 500 지수는 장 초반 하락세를 보였지만, 저가 매수세와 숏커버링이 유입되면서 하락분을 대부분 만회했어요.
특히 기업 실적 발표와 주요 경제 지표 발표를 앞두고, 투자자들이 관망 자세를 유지하면서도 일부 매수세가 유입된 것이 특징이었어요.
경기 지표 부진, 시장의 부담으로 작용
이날 발표된 ‘댈러스 연은 제조업 지수’는 2020년 5월 이후 최저치를 기록했어요.
지표 악화는 경기 침체 우려를 다시 자극했고, 시장은 트럼프 전 대통령의 무역 정책 복귀 가능성까지 염두에 두면서 등락을 반복했어요.
시마 시아(Principal Asset Management)는
"이번 지표는 제조업 전반에 침체 우려를 더욱 부각시키고 있다"고 언급했어요.
특히 무역 긴장감이 해소되지 않는 상황에서, 투자자들은 신중한 움직임을 보이고 있어요.
무역 갈등, 투자자 불확실성 증폭
스캇 센터(전 재무장관)는 CNBC 인터뷰에서
"중국이 미국보다 훨씬 많은 제품을 수출하고 있으며, 120~145%에 달하는 관세는 지속 가능하지 않다"고 언급했어요.
그는 최근 중국이 일부 미국산 제품에 대해 관세 면제를 발표한 점을 긍정적으로 평가하면서,
"중국이 먼저 행동해야 한다"며 긴장 완화를 위한 선제 조치가 필요하다고 강조했어요.
또한 미국은 현재 중국보다 인도 등 17개국과의 무역 협정에 집중하고 있으며, 인도와의 합의가 가장 먼저 타결될 가능성이 높다고 밝혔어요.
실적 발표, 기대보다 낮은 깜짝 성적
팩트셋(FactSet)에 따르면, 1분기 실적을 발표한 기업 중 약 73%가 시장 예상치를 웃돌았어요.
하지만 이는 최근 5년 평균보다는 낮은 수준이에요.
불확실한 관세 환경 속에서 많은 기업들이 실적 가이던스를 보수적으로 제시하고 있고,
이에 따라 2분기 및 연간 전망도 하향 조정되고 있어요.
주식시장 내 종목별 희비 엇갈려
대부분 업종이 소폭 상승한 가운데,
엔비디아는 화웨이가 신규 칩을 테스트하고 있다는 보도가 나오며 주가가 하락했어요.
앤서니 사글린베네(아메리프라이스)는
"이번 주는 가장 분주한 한 주가 될 것"이라고 전하며,
‘매그니피센트 7’과 같은 핵심 기업들의 실적 발표, 무역 관련 뉴스, 주요 경제지표 발표 등이
투자자들의 혼란을 가중시킬 것이라 전망했어요.
파와드 라자크 자단(렉스닷컴)은
"무역 긴장, 경기 침체 우려, 통화 정책 불확실성 등 주요 리스크들이 여전히 살아 있다"고 강조했어요.
2025년 4월 29일(화) 주요 일정
다음은 4월 29일에 발표될 주요 경제 지표들이에요.
투자 전략 수립에 참고해보세요.
- 21:30 미국 3월 도매재고
- 21:55 미국 존슨 레드북 소매 판매 지수
- 22:00 미국 2월 주택 가격 지수
- 23:00 미국 3월 JOLTS(구인건수)
- 23:00 미국 4월 컨퍼런스보드 소비자신뢰지수
- 23:30 미국 4월 댈러스 연은 서비스업 활동 지수
이번 주는 단기 트레이더뿐 아니라 장기 투자자에게도 중요한 분기점이 될 수 있어요.
불확실한 환경 속에서도 핵심 데이터와 기업 실적을 면밀히 관찰하면 좋은 기회를 만들 수 있어요.
'뉴스 > 경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미국 증시 경제 소식 (2025년 4월 16일) (2) | 2025.04.17 |
---|---|
미국 증시 경제 소식 (2025년 4월 14일) (1) | 2025.04.15 |
미국 증시 경제 소식 (2025년 4월 11일) (1) | 2025.04.12 |
미국 증시 경제 소식 (2025년 4월 9일) (1) | 2025.04.10 |
미국 증시 경제 소식 (2025년 4월 8일) (2) | 2025.04.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