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증시는 2월 13일(목) 상승 마감했어요.
투자자들은 높은 인플레이션 지표와 고용 지표, 그리고 관세 관련 발언에도 불구하고 시장을 낙관적으로 바라보며 상승세를 유지했어요.
대형 기술주의 주도로 주요 지수들이 사상 최고치에 근접하며 긍정적인 흐름을 이어갔어요.
주요 지수 동향
- S&P 500 지수: 모든 업종이 상승하며 1% 상승
- 나스닥 지수: 기술주 강세에 힘입어 상승
- 다우존스 지수: 안정적인 흐름 유지
특히,
🔹 테슬라(TSLA) & 엔비디아(NVDA): 각각 3% 이상 상승, 시장을 주도
🔹 애플(AAPL): 팀 쿡 CEO가 2월 19일 신제품 출시를 예고하면서 2% 상승
🔹 메타(META): 19일 연속 상승세 기록
트럼프 행정부의 무역 관세 발언
트럼프 대통령은 행정부에 여러 무역 파트너에 대한 상호 관세 부과를 검토하도록 지시했어요. 하지만,
- 상무부 장관 지명자 하워드 루트닉은 모든 조사가 4월 1일까지 완료될 예정이며, 이후 트럼프 대통령이 즉시 조치를 취할 수 있다고 밝혔어요.
- 하지만 즉각적인 관세 부과는 보류됐고, 이는 멕시코·캐나다와의 협상 전략과 유사한 방식으로 해석돼요.
- 시장에서는 실제 관세 부과 가능성이 낮다고 보고 있으며, 트럼프의 발언이 협상을 위한 카드일 가능성이 높다고 분석했어요.
인플레이션 & 경제 지표
이번 주 생산자 물가 지수(PPI)는 예상보다 높았지만, 투자자들은 연준이 주목하는 개인 소비 지출 물가 지수(PCE)가 예상보다 안정적일 것이라 보고 있어요.
🔹 PCE 주요 구성 요소
- 의료 서비스
- 항공 요금
넷 얼라이언스의 앤드류 브레넌은 PPI 상승에도 불구하고, 연준이 중요하게 여기는 PCE 지표는 안정적이라며 긍정적인 해석을 내놓았어요.
약세장 경고 🚨
한편, 골드만 삭스의 스콧 루브는 미국 주식 시장에 약세장이 다가오고 있다고 경고했어요.
그의 주요 분석
✔ 개인 투자자, 기업 자금, 연초 배분 자금 등이 이미 시장에 유입됨
✔ 하락 시 매수세가 점점 약해지고 있음
✔ 계절적으로도 주식 시장에 불리한 시기에 접어듦
즉, 추가 상승 동력이 부족할 수 있다는 의견이에요.
주요 기업 실적 발표
- 어플라이드 머티리얼즈(AMAT): 2분기 매출 전망 하회
- 에어비앤비(ABNB): 매출 예상 상회, 그러나 1분기 전망 하회
- 코인베이스(COIN): EPS(주당순이익) & 매출 예상 상회
2월 14일 (금) 주요 일정
✔ 22:30 미국 1월 소매 판매
✔ 22:30 미국 1월 수입 물가 지수
✔ 23:00 미국 12월 기업 재고
✔ 05:00 연준 로건 총재 연설
💡 소매 판매 지표는 시장 심리에 중요한 역할을 하므로 주목할 필요가 있어요.
총평
✅ 대형 기술주의 강세로 증시 상승
✅ 트럼프 행정부의 관세 발언은 협상 전략으로 해석
✅ 인플레이션 우려에도 시장은 연준 정책에 대한 낙관론 유지
⚠️ 하지만 골드만 삭스의 약세장 경고는 투자자들에게 부담
향후 경제 지표와 연준의 스탠스를 지속적으로 주시할 필요가 있어요! 🚀

'뉴스 > 경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미국 증시 경제 소식 (2025년 2월 19일) (0) | 2025.02.20 |
---|---|
미국 증시 경제 소식 (2025년 2월 14일) (0) | 2025.02.16 |
미국 증시 경제 소식 (2025년 2월 12일) (1) | 2025.02.13 |
미국 증시 경제 소식 (2025년 2월 11일) (0) | 2025.02.12 |
미국 증시 경제 소식 (2025년 2월 10일) (0) | 2025.02.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