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은행이 올해 성장률 전망치를 기존 2.8%에서 2.5%로 하향 조정했다. 한국은행이 연초에 발표한 경제성장률 전망치로는 8년 만에 최저수준이다. 나라 밖으로는 미국 금리인상, 안으로는 정치적 불확실성 탓에 소비가 위축될 것이란 우려에서다. 수출과 투자가 개선 조짐을 보이는 것은 희망적이다. 경기 불씨를 살리기 위해 금융통화위원회는 앞으로도 완화기조를 유지하겠다고 밝혔다.


◆소비지표 엇갈렸지만 


한은은 13일 금통위 전체회의를 열고 이 같은 내용의 ‘2017년 경제전망’을 확정했다. 이주열 한은 총재는 금통위 직후 기자간담회에서 “작년 10월에 전망했던 성장률 전망치 2.8%를 2.5%로 내린다”며 “그동안 대내외 여건이 급속히 바뀌었다”고 설명했다. 미 대선 이후 시작된 시중금리 상승과 미 달러화 강세, 보호무역주의에 대한 우려 등을 악재로 꼽았다. 그는 특히 “민간 소비가 생각했던 것보다 더 둔화되지 않을까 하는 것이 주된 (성장률) 하향 원인”이라며 “소비심리 위축은 정치적 불확실성이 커졌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작년 12월 백화점·할인점 매출이 전년 동월보다 늘어났지만 이 총재는 “정부 정책 효과로 당초 우려보다 괜찮았을 뿐 소비가 호조라고 평가하진 않는다”고 말했다. 


경제를 떠받쳤던 건설투자 증가율도 작년 10.9%에서 올해 4.3%로 둔화될 것으로 한은은 전망했다. 다만 이 총재는 “집값의 급격한 하락은 없을 것”이라며 “금융자산에 버블(거품)이 있다고 보기도 어렵다”고 말했다.


◆연말 ‘플러스 성장했다’ 


한은의 올해 성장률 전망치는 작년 초 3.2%에서 석 달마다 매번 하락했다. 이번 전망치 2.5%는 LG경제연구원(2.2%), 현대경제연구원(2.3%) 등 민간 연구소보다 높지만 정부 전망(2.6%)보다는 낮다. 한은은 내년 성장률을 올해보다 조금 나아진 2.8%로 제시했다. 2015년(2.6%)부터 4년 연속 3%를 넘지 못하는 셈이다.


암울한 시각만 있는 것은 아니다. 세계 경제가 살아나면서 상품수출 증가율이 작년 0.9%에서 올해 2.4%로 높아질 것으로 한은은 진단했다. 부진하던 설비투자도 올해 2.5% 증가세로 돌아설 것으로 내다봤다. 


일부에서 ‘마이너스 성장’을 경고했던 작년 4분기에 대해서도 이 총재는 “소폭의 플러스 성장을 한 것으로 판단된다”며 지나친 비관론을 경계했다.


◆“금리 올릴 시점 아니다” 


이날 금통위는 기준금리를 연 1.25%로 7개월째 동결했다. 미 금리 인상에 시동이 걸렸지만 금통위는 신중하게 지켜보자는 태도다. 금통위는 의결문에 “국내 경제의 성장세가 완만해 수요 측면의 물가상승 압력이 높지 않을 것이므로 통화정책 완화기조를 유지할 것”이라는 표현을 추가하기도 했다.


국제 유가 오름세에 따라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작년 1.0%에서 올해 1.8%로 오르겠지만 한은의 물가안정 목표치(2.0%)보다는 낮을 것으로 진단했다. 경기가 부진한데 물가가 급등하는 ‘스태그플레이션’ 우려에 대해서도 이 총재는 “그럴 가능성은 낮다”고 말했다. 


오석태 소시에테제네랄증권 이코노미스트는 “이 총재는 미국이 금리를 인상한다고 해서 한국이 따라갈 필요는 없다고 강조해왔다”며 “당분간 완화 기조를 유지하며 기준금리를 동결할 가능성이 높다”고 말했다. 신민영 LG경제연구원 경제연구실장은 “수출이 미약하나마 회복세를 보이는 대신 내수 지표가 나빠질 것으로 예상되면서 통화정책이든 재정정책이든 무작정 동원하기보다는 일단 두고볼 때라고 당국은 분석하는 듯하다”고 말했다. 

우리나라의 최근 5년간의 금리 인상 인하등의 조정을 한 히스토리 입니다.

금일 금통위는 기준금리를 동결 하였습니다.


중국의 통화정책에 대해 환율전쟁이 시작되었다는 이야기가 있을 정도라서 금일 급작스러운 인하가 되면 어쩌나 했는데 다행히 큰 이슈가 없이 잘 마무리 된것 같습니다.

▲ 2010. 7. 9 = 2.00%→2.25%로 인상(0.25%p↑)

▲ 2010.11.16 = 2.25%→2.50%로 인상(0.25%p↑)

▲ 2011. 1.13 = 2.50%→2.75%로 인상(0.25%p↑)

▲ 2011. 3.10 = 2.75%→3.00%로 인상(0.25%p↑)

▲ 2011. 6.10 = 3.00%→3.25%로 인상(0.25%p↑)

▲ 2012. 7.12 = 3.25%→3.00%로 인하(0.25%p↓)

▲ 2012.10.11 = 3.00%→2.75%로 인하(0.25%p↓)

▲ 2013. 5. 9 = 2.75%→2.50%로 인하(0.25%p↓)

▲ 2014. 8.14 = 2.50%→2.25%로 인하(0.25%p↓)

▲ 2014.10.15 = 2.25%→2.00%로 인하(0.25%p↓)

▲ 2015. 3.12 = 2.00%→1.75%로 인하(0.25%p↓)

▲ 2015. 4. 9 = 1.75% 유지 결정

▲ 2015. 5.15 = 1.75% 유지 결정

▲ 2015. 6.11 = 1.75%→1.50%로 인하(0.25%p↓)

▲ 2015. 7. 9 = 1.50% 유지 결정

▲ 2015. 8.13 = 1.50% 유지 결정


<출처 : 연합뉴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