증시가 투자자들에게 끊임없는 선택을 강요하고 있다. 기간조정을 밟으며 저가매수에 나설 것인지, 아니면 가격조정을 염두에 두고 주식을 일단 처분할 것인지 판단 하라는 게 현재의 국면이다. 어느 쪽이 됐건 피곤한 고민이 아닐 수 없다. 
전문가들의 의견도 엇갈리는 상황이다. 일단 속도는 느릴 지라도 주가가 지속적으로 오를 가능성이 높다는 시각이 우세한 편이다. 

이들의 논리는 이렇다. 글로벌 투자심리의 무게추가 여전히 위험자산으로 기울어져 있기 때문에 상승추세가 이어질 수 있다는 것이다. 

김진영 NH투자증권 연구원은 "글로벌 투자심리의 가늠자로 볼 수 있는 국제유가가 배럴당 44달러를 돌파하며 안정적인 흐름을 이어가고 있다"며 "원유시장을 둘러싼 잡음은 여전하나 여름철 드라이빙 시즌 수요 모멘텀이 있다"고 말했다. 

그는 이어 "장기적인 측면에서 비OPEC 국가들의 감산 등에 따른 수급균형 기대감이 보다 우세하게 작용하며 국제유가의 하방 경직성을 강화시키는 모습"이라며 "원유선물 시장 내 비상업적 순매수 포지션이 지난 한주에만 16% 가량 증가하며 지난해 6월 수준으로 올라섰다"고 설명했다. 

여기에 구리, 금, 은 등 원자재에 대한 투기적 거래의 매수우위 상황도 이어지며 상품시장의 추가적인 강세 가능성을 시사하고 있다는 것이다. 중국 및 신흥국의 경기개선 조짐도 주목할 대목이라는 지적이다. 

중국은 수출 증가 및 고정자산 투자 확대 등 실물지표 호전에 힘입어 경착륙 우려가 완화된 데다, 재정정책 효과 가시화와 투자사이클 회복구간 진입으로 경기회복에 대한 기대가 높아지고 있다. 

더불어 신흥국 역시 경기개선의 시그널이라 할 수 있는 금속가격 및 호주달러가 반등세를 이어가며 경기 턴어라운드 조짐이 나타나고 있다. 이에 위험자산 선호심리 우세와 신흥국 증시의 상대적 강세 국면이 좀 더 연장될 것이란 지적이다.

반면 현재 국면을 조정 초입으로 보는 전문가들은 달러 강세와 유가 상승이 이뤄지고 있는 건 사실이나, 그 폭이 제한적이라는 점을 지적한다. 국내 증시의 상승을 이끈 건 달러와 엔화에 비교한 원화가치 약세와 인플레이션에 대한 기대감인데, 이 요인들이 점차 사라지고 있다는 것이다. 

윤영교 LIG투자증권 연구원은 최근 강세를 보이는 업종군이 바뀌고 있다는 점을 이런 변화의 근거로 제시했다. 

그는 "여전히 철강, 기계 업종은 수익률 상위에 머물러 있지만 에너지, 화학 업종은 순위가 크게 밀렸다"며 "그 자리를 필수소비재, 화장품∙의류 등 경기둔감 업종 및 성장주 비중이 높은 업종들이 채웠고 은행업종이 수익률 상위에 자리잡았다"고 말했다. 
그는 이어 "경기민감 업종이 2월 이후 상대적으로 우월한 성과를 보일 수 있었던 이유로 꼽히는 인플레이션 기대심리 확산, 환율효과가 희석되고 있다"며 "4월 말을 지나면서 이런 현상은 더욱 강화될 것으로 예상된다"고 내다봤다. 

강세론과 약세론 모두 나름대로 근거가 있어 판단이 쉽지 않은데, 일단은 시장 분위기에 순응하면서 상황을 지켜보는 것도 대안이 될 것으로 보인다. 지난 새벽 미국 기준금리에 대한 방향이 어느 정도 정해졌기 때문이다. 

27일(현지시간) 미국 연방준비제도이사회(FRB)가 기준금리를 현행 0.25~0.5%로 동결하기로 했다. 경기지표가 엇갈린 모습을 보이고 있고 낮은 물가상승률과 글로벌 경제 상황이 좋지 않다는 이유에서다. 

연방준비제도이사회(FRB)는 6월 기준금리 인상 여부에 대한 단서를 내놓지 않았지만 미국 경제에 대한 평가가 좀더 긍정적으로 변했고 ‘금리 인상을 서두르지 않겠다’는 기존 입장을 되풀이했다. 

이날 뉴욕 증시에서 스탠다드앤푸어스(S&P)500 지수는 전날보다 3.45포인트(0.16%) 상승한 2095.15를 기록했다. 장초반부터 하락세가 이어졌지만 기준금리 동결 결정 이후 상승세로 전환했다. 다우존스산업평균지수는 51.23포인트(0.28%) 오른 1만8041.55로 마감했다. 반면 나스닥종합지수는 25.14포인트(0.51%) 하락한 4863.14로 거래를 마쳤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