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증시는 3월 6일(목) 하락 마감했어요.
투자 심리가 극도로 위축되면서 반등에 실패했어요.
트럼프 대통령이 멕시코 및 캐나다산 제품에 대한 관세 부과를 연기한다고 발표했지만, 시장은 이를 긍정적으로 받아들이지 않았어요.
트럼프 대통령은 관세 정책이 미국의 입지를 강화할 것이라고 주장했어요.
또한, 주가 급락에 대한 질문에 대해 "우리나라가 부유해지는 걸 못마땅하게 여기는 글로벌리스트들 때문"이라는 발언을 했어요.
이에 더해 베센 재무장관도 관세 정책에 우호적인 입장을 밝히면서,
투자자들은 미국이 장기적으로 타협할 의지가 있는지 의문을 제기했어요.
기술주 하락이 시장을 끌어내려
기술주 중심으로 하락세가 강하게 나타났어요. 특히 엔비디아가 대형주 급락을 주도했어요.
마블 테크놀로지는 인공지능(AI) 열풍 속에서 기대에 미치지 못하는 실적 전망을 발표하며 급락했어요.
알리바바가 새로운 오픈 소스 AI 모델 QWQ-32B를 공개하면서 미국 반도체 업종 전반에 부담이 가중됐어요.
이 모델은 적은 데이터로도 이전보다 뛰어난 성능을 보여, 시장에서는 미국의 AI 독점이 점점 더 어려워질 것이라는 신호로 받아들이고 있어요.
경제 지표와 시장 반응
미국의 노동시장 지표는 예상보다 나쁘지 않았어요.
지난주 실업수당 청구 건수가 감소하면서, 고용시장 악화를 우려했던 시장에 약간의 안도감을 줬어요.
블룸버그 조사에 따르면, 2월 비농업 부문 고용은 16만 명 증가했을 것으로 예상돼요.
이는 지난달 14만 3,000명 증가보다 소폭 상승한 수치지만, 2024년 말과 비교하면 여전히 낮은 수준이에요.
실업률은 4% 유지될 것으로 전망돼요.
국채 금리와 시장 반응
S&P 500은 1.8% 하락했어요.
10년물 국채 금리는 소폭 상승해 **4.29%**를 기록했어요.
시장 전문가들의 의견
- 크리스 라키(이트레이드): "현재 무역 정책이 시장을 주도하고 있으며, 관세 관련 불확실성이 해소될 때까지 투자자들은 어려움을 겪을 것이다."
- 스티브 케아바로네(페더레이티드 에르메스): "불확실성이 최고조에 달했고, 경기 역시 다소 부진한 상황이다."
- 키스 러너(트위스트): "시장 상황이 매우 혼란스럽고, 이러한 변동성이 시장의 일일 변동성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
- 빌 스털링(GWK 인베스트먼트): "투자자들이 우려하는 또 다른 점은 관세의 규모다. 이는 2018년보다 훨씬 크며, 인플레이션을 높일 수 있다."
개별 기업 실적 발표
- 브로드컴: 실적 발표 예정.
- 코스트코: EPS(주당순이익) 예상치를 하회.
- 상하이 인티 머신: 두 번째 달 착륙선 '아테나'가 기울어진 상태로 착륙.
2025년 3월 7일(금) 주요 일정
경제 지표 발표(한국시간 기준)
- 22:30 미국 2월 비농업 취업자 수 발표
- 22:30 미국 2월 실업률 발표
- 01:00 미국 연준 통화정책 보고서 발표
- 03:00 미국 베이커 휴즈 원유 시추기 수 발표
연준 인사 연설(한국시간 기준)
- 00:15 연준 보먼 이사 연설
- 00:45 연준 윌리엄스 총재 연설
- 02:20 연준 쿠글러 이사 연설
- 02:30 연준 파월 의장 연설
이번 주 미국 증시는 무역 정책과 관세 이슈로 인해 큰 변동성을 보였어요.
특히 기술주 중심의 하락이 두드러졌고, AI 및 반도체 업계에 대한 우려가 커지고 있어요.
투자자들은 3월 7일 발표될 미국 고용 보고서와 연준 인사들의 발언을 주목하고 있어요.
단기적으로 변동성이 계속될 가능성이 높으니, 투자자들은 신중한 접근이 필요해요.

'뉴스 > 경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미국 증시 경제 소식 (2025년 3월 10일) (0) | 2025.03.11 |
---|---|
미국 증시 경제 소식 (2025년 3월 7일) (0) | 2025.03.08 |
미국 증시 경제 소식 (2025년 3월 4일) (1) | 2025.03.05 |
미국 증시 경제 소식 (2025년 3월 3일) (0) | 2025.03.04 |
미국 증시 경제 소식 (2025년 2월 28일) (0) | 2025.03.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