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의 중앙은행인 일본은행(BOJ)은 10일 8월중 PPI를 발표했다.

이 자료에 따르면 일본의 PPI는 전년동기대비 3.6% 하락했다.

당초 시장에서는 3.2% 하락을 전망했으나 실제 드러난 지수는 이보다 더 떨어졌다. 

한달 전에 비해서는 0.6% 하락했다. 

PPI란 Producer Price Index의 약어다.

우리 말로는 생산자물가 지수이다. 

기업간의 거래에서 형성되는 모든 상품의 가격 변동을 측정하는 지수이다. 

소비자 물가 지수보다 포괄범위가 넓어 국민경제차원에서 물가수준을 측정하는 데에 가장 널리 활용된다.

일본은 디플레 우려를 불식하기 위해 물가를 끌어올리는 이른바 양적완화 정책를 펴왔다. 

그럼에도 좀체 오르지 않고 있다. 오히려 떨어져 국가경제에 부담을 주고 있다

물가가 떨어지면 기업이 생산을 하면 할수록 단가 하락으로 인한 손실이 커진다. 

결국 디플레 구조에서는 단가 하락 손실을 우려한 기업들이 생산을 중단하여 국가경제를 마비시킬 우려가 있다.

일본으로서는 양적완화를 더 확대해야한 상황으로 몰려들 수 있다. 

이 경우 엔저에 따른 우리나라 수출업체의 경쟁력 하락이 문제될 수 있다



중국의 소비자물가가 시장 전망보다 개선됐다. 중국 당국의 부양조치로 수요가 다소 안정세를 찾았다는 신호로 풀이된다.

9일 중국 국가통계국은 지난 11월 소비자물가지수(CPI)가 전년대비 1.5% 상승했다고 발표했다. 1.3% 상승한 10월 수치를 웃돌았으며 시장 전망치 1.4% 상승도 앞질렀다. 

항목별로는 식품가격이 전년대비 2.3%, 비식품가격이 1.1% 올라 둘다 전월보다 상승폭을 키웠다. 도시 및 농촌지역 물가는 전년대비 각각 1.5%, 1.3%씩 상승했다. 

함께 나온 11월 생산자물가지수(PPI)는 전년대비 5.9% 하락해 전월과 동일한 수준을 이어갔다. 중국 PPI는 45개월째 하락세가 이어지고 있다. 

전망보다 개선된 물가상승률과 둔화된 수입 감소세는 그간 중국 당국의 부양 조치로 수요 안정 효과가 어느정도 나타났다는 신호로 관측된다. 하지만 물가상승률이 당국이 제시한 올해 안정 목표치 3%의 절반 수준에 그치고 있다는 점에서 추가 부양 가능성도 여전히 제시되고 있다.

+ Recent posts